1. 빛과 조명으로 설계한 판타지 세계, 이천 별빛정원 우주 ▶ 경기 이천시 마장면 덕이로154번길

⊙ 영동고속도로 덕평 자연 휴게소에 자리한 별빛정원 우주는 즐겁고 환상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영동고속도로 폐도 구간을 포함해 4만 6000여 ㎡(약 1만 4000평) 규모의 잔여 부지를 일루미네이션 테마파크로 조성했으며, 발길 닿는 곳마다 조명을 이용한 갖가지 조각과 설치 작품, 조형물이 반긴다.

⊙ 어둠이 내리면 보라색 별이 쏟아져 내리는 듯한 ‘바이올렛 판타지’, 전구로 만든 유럽의 화려한 궁전 ‘로맨틱 가든’, 국내에서 가장 긴 빛의 터널인 ‘터널 갤럭시 101’ 등이 빛의 향연을 펼친다.

  • 별빛정원 우주 동절기 이용 시간은 주간 오전 11시~오후 4시 30분, 야간 오후 5~11시다(연중무휴).
  • 입장료는 주간에 별빛정원 우주 본관 내 ‘카페 진리’에서 1인 1 음료 주문 시 무료, 야간 어른(14세 이상) 1만 2000원, 어린이 6000원이다.

이천 별빛정원우주

2. 길고 긴 광산의 역사와 함께 깨어난 광명동굴 ▶ 경기 광명시 가학로85번길

⊙ 가학산에 자리 잡은 광명동굴은 광명시의 랜드마크이자,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에 든 명소다. 100년이 넘는 광산의 역사에 무궁무진한 이야기가 담겼을 뿐만 아니라, 가족과 즐기는 문화 예술 공간으로도 손색이 없다. 동굴 내부에 들어서면 황홀한 웜홀 광장, 화려한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으로 수놓은 빛의 공간, 미디어 파사드를 감상하는 동굴 예술의 전당, 광명동굴의 1급 암반수를 이용해 다양한 물고기를 키우는 동굴 아쿠아월드를 거쳐 지하 1 레벨로 내려가 동굴 지하세계를 탐험하고, 광명 와인동굴을 마지막으로 동굴 탐험이 끝난다.

⊙ 외부에 마련된 광물 전시체험관은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체험 거리가 다양하다. 광명동굴 입구 오른쪽으로 난 계단을 따라 동굴 전망대 ‘스카이뷰’에 오르면 서쪽으로 지는 아름다운 일몰도 만난다.

광명동굴

3. 밤이 되면 깨어나는 마법의 세계, 대전 오월드 나이트 유니 버스 ▶ 대전 중구 사정공원로

⊙ 대전 오월드 나이트 유니버스는 친구나 연인, 가족 그 누구와 함께여도 좋을 낭만적인 겨울밤을 선물한다. 지난 8월 정식 개장한 야간 특화 전시장으로, 종전 플라워랜드 시설물을 최대한 활용해 낮에는 아름다운 꽃을, 밤에는 화려한 미디어 아트를 감상할 수 있다. 오월드에 어둠이 내려앉으면 새로운 세계로 안내하는 ‘차원의 문’이 열리고, 요정 ‘심비’의 흔적을 따라 마법 같은 12개 스폿이 이어진다.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빛 터널 ‘매직 네이처’는 나이트 유니버스 인기 포토 존이다.

⊙ 워터 스크린을 활용한 ‘드리밍 오아시스’도 관람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오월드는 한국호랑이와 한국늑대를 만나는 주랜드, 희귀 조류를 눈앞에서 관찰하는 버드랜드 등 낮에도 즐길 거리가 풍성하다. 

  • 나이트 유니버스 동절기 운영 시간은 오후 6~9시, 월요일은 휴장 한다.
  • 해당 시간에 입장 가능한 티켓을 판매하지만, 오월드 입장권과 2000~4000원 차이가 나기 때문에 낮부터 둘러보기를 추천한다.

오월드 나이트유니버스

4. 12월 여행의 밤은 꽃보다 반짝여서, 태안 네이처 월드 ▶ 충남 태안군 남면 마검포길

⊙ 태안은 서쪽 해안이 길어 일몰을 감상하기에 좋다. 해가 진 뒤에는 네이처 월드에서 반짝이는 밤 여행을 이어갈 수 있어, 12월 여행지로도 안성맞춤이다. 네이처 월드에서 개최하는 태안 빛 축제는 무려 600만 개 발광다이오드(LED) 전구 장식들로 꾸며졌다. 사람이 만든 불빛이지만, 마치 겨울에 핀 꽃인 양하다. 축제장 가운데 자리한 세로로 긴 연못은 오색 조명이 빛나는 섬과 고니 조형물의 반영이 아름답다.

⊙ 연못 북쪽 전망대는 네이처 월드에서 단일 전시물로는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메인 LED동산’과 ‘은하수 카펫’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연못 서쪽 ‘숲 속 LED정원’의 꽃과 나비는 올해 처음 선보이는 작품이다. 가장 키가 큰 조형물 ‘트로이목마’와 ‘출렁다리’ 앞의 남녀 옆얼굴 또한 이곳의 자랑이다.

  • 네이처 월드 동절기 운영 시간은 오후 5시 30분 ~ 10시(9시까지 입장, 연중무휴), 
  • 입장료는 어른 9000원, 유아·청소년(36개월~19세) 7000원이다. 
  • 비 오는 날에는 점등하지 않으므로 확인하고 방문해야 한다.

태안 네이처월드

5. 해변의 밤을 수놓는 빛의 판타지, 광안리 M드론 라이트 쇼 ▶ 부산 수영구 광안해변로(광안리해수욕장)

⊙ 이제 부산의 밤은 〈광안리 M드론 라이트 쇼〉가 책임진다. 〈광안리 M드론 라이트 쇼〉는 수영구가 마련한 상시 공연으로, 2023년까지 매주 토요일 2회(10~2월 오후 7·9시 / 3~9월 오후 8·10시), 회당 10분 남짓 열린다. 드론 500~1500대가 계절과 기념일에 어울리는 콘텐츠를 선보인다. 이름에 붙은 M은 ‘놀라운’ ‘믿기 어려운’을 뜻하는 영어 단어 marvelous에서 따왔다.

⊙ 드론이 펼치는 퍼포먼스는 이름처럼 판타지와 신비로움을 선사한다. 관람료는 없고, 광안리해수욕장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광안리해수욕장은 연인의 성 지이자 우리나라 대표 해수욕장 가운데 하나다. 시나브로 해가 지고 가로등이 하나둘 들어오면 이곳은 연인, 친구, 가족과 함께 온 이들로 북적인다. 지난 4월부터 시작한 〈광안리 M드론 라이트 쇼〉를 보기 위해서다. 드론은 대개 광안대교 위쪽으로 떠오르며 광안대교 야경과 어우러져 공연이 더 환상적이다.

광안리 M드론 라이트쇼

6. 예술이 빛나는 밤, 광주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미디어 파사드 ▶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 겨울 하늘에 별이 뜨면 야외 전시장 곳곳에 있는 작품이 불을 밝힌다. 〈2022 ACC 미디어 파사드, 반디 산책 :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은 광주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야외 공간에서 미디어 아트와 현대미술 작품을 소개하는 연례 기획전이다. ACC 미디어월과 하늘마당 미디어큐브에서 상영하는 영상 작품, 내부에 조명을 설치한 조각 작품, 외부조명을 받아 빛나는 설치 작품을 12월 25일까지 즐길 수 있다.

⊙ ACC 미디어월과 하늘마당 미디어큐브, 나비정원 음악분수 등에는 전시가 끝난 뒤에도 조명이 들어와 반짝이는 밤 풍경이 계속된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독일 출신 작가 등 총 16팀이 27점을 선보인다. 남녀노소 누구나 산책하며 영상과 조각, 설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외부 시설 동절기 운영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월요일, 1월 1일 휴관), 입장료는 없다.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미디어파사드

출처 : 한국관광공사, 정책브리핑

 

에너지 바우처는 에너지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 구입에 필요한 에너지 이용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출처 : 부산시보 다이내믹부산

1. 에너지 바우처는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소득기준과 세대원 특성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세대

☞ 소득기준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 / 의료급여 / 주거급여 / 교육급여 수급자

※ 주거급여 / 교육급여 수급자는 2022년 한시 지원

☞ 세대원 특성 기준

- 수급자(본인) 또는 세대원이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신부, 중증질환자, 희귀 질환자, 중증 난치질환자, 한부모 가족, 소년소녀가정(가정위탁보호 아동 포함)

 

2. 에너지 바우처의 지원금액은 얼마인가요?

세대 하절기 동절기 총액
1인 세대 29,600원 118,500원 148,100원
2인 세대 44,200원 159,400원 203,600원
3인 세대 65,500원 212,500원 278,000원
4인 세대 93,500원 278,600원 372,100원

※ 한 세대에 신청요건을 충족하는 세대원이 여러 명이어도 에너지 바우처는 세대당 1개만 발급

※ 동절기 바우처 일부(최대 45,000원) 하절기에 사용 가능

 

3. 에너지 바우처의 신청 및 사용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 신청기간 : 2022년 12월 30일까지

※ 하절기 바우처 사용 기한(~ 9. 30.) 이후 신청하여도 하절기와 동절기 바우처 금액을 합하여 지급

⊙ 사용기간

- 하절기 바우처 : 2022년 7월 1일 ~ 2022년 9월 30일

- 동절기 바우처 : 2022년 10월 12일 ~ 2023년 4월 30일

 

4. 에너지 바우처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 온라인, 방문 또는 직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누리집 ▶ 복지로 →  상단 메뉴 중 "서비스 신청" 클릭 → "복지서비스 신청" 클릭 → "에너지 바우처" 선택             
  • 방문신청 : 읍·면·동 주민센터
  • 직권신청 : 담당 공무원 전화 등을 통해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직권 신청 가능

 

5. 에너지 바우처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하절기 에너지 바우처 : 전기 요금 고지서에서 자동으로 차감

동절기 에너지 바우처 : 아래 두 가지 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신청

  • 요금고지서에서 자동으로 차감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중 한 가지 선택)
  • 국민행복카드 이용 직접 결제                                                                                                                                            - 등유, LPG, 연탄 : 가까운 에너지 바우처 가맹점 방문 및 구입                                                                                          - 전기, 도시가스 : 해당 영업소에 전화 문의 (전화 또는 방문 결제)

 

6. 국민행복카드는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나요?

  • BC카드 : ☎ 1899-4651
  • 롯데카드 : ☎ 1899-4282
  • 삼성카드 : ☎ 1566-3336
  • KB국민카드 : ☎ 1599-7900
  • 신한카드 : ☎ 1544-8868

※ BC카드는 NH농협, IBK기업은행, 우리 카드(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SC제일은행, 우체국, 수협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하나은행에서 발급 가능

※ 거동 불편 등으로 국민행복카드 발급을 위한 은행 방문이 어려울 경우, 각 카드사별 콜센터 전화를 통해 국민행복카드 발급 신청 가능

 

7. 기존에 에너지 바우처를 받은 사람도 다시 신청해야 하나요?

  • 정보 변동이 없고 올해도 자격 유지가 되시는 분 : 자동 신청 및 발급
  • 이사 또는 세대원 수 변동 등 정보 변동이 있으신 분 : 재신청

※ 기타 에너지 바우처 문의 : 콜센터(☎ 1600-3190)

출처 : 정책브리핑

+ Recent posts